플라스틱 없는 삶을 지향하며 여러 생활 영역을 바꿔보았지만, 그 중 가장 어려웠던 건 바로 욕실이었습니다. 칫솔, 치약, 샴푸, 린스, 클렌징… 대부분의 제품이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었고, 그 쓰레기 양은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그래서 ‘플라스틱 없는 욕실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 불편했지만, 분명히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 경험을 기록합니다.
플라스틱 없는 욕실 실천기, 첫걸음은 관찰에서
처음 한 일은 욕실에서 사용 중인 제품을 모두 꺼내어 분류하는 것이었습니다. 예상대로 거의 모든 제품이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었고, 일부는 사용한 지 오래됐지만 습관적으로 놓고 쓰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먼저 다 쓴 제품부터 ‘대체할 수 있을까?’를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칫솔은 대나무 칫솔로, 치약은 고체 치약으로, 샴푸와 린스는 고체바 제품으로 교체해보기로 했죠. 처음엔 용기부터 달라 불편했지만, 일주일이 지나자 ‘불편함보다 새로움’이 더 컸습니다.
친환경 세면도구 추천, 실사용 제품 후기
제가 가장 먼저 교체한 것은 칫솔과 치약이었습니다. 대나무 칫솔은 사용감이 부드럽고, 플라스틱보다 가벼워서 오히려 손에 더 익었습니다. 고체 치약은 알약 형태로, 하나를 입에 넣고 씹으면 거품이 나고 양치가 가능합니다. 초반에는 거품이 부족해 찝찝한 느낌도 있었지만, 점차 입안이 개운해지는 느낌이 더 강해졌습니다. 샴푸바는 일반 샴푸처럼 풍성한 거품은 아니었지만, 두피가 가렵지 않아 자극이 적다는 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욕실 선반이 깔끔해졌고, 플라스틱 용기가 하나도 없는 풍경이 꽤 뿌듯했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욕실 용품, 무엇부터 바꿔야 할까?
모든 제품을 한꺼번에 바꾸는 것은 어렵고, 오히려 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다 쓴 용품부터 하나씩 바꿔나갔습니다. 린스는 사과식초와 물을 섞은 ‘천연 린스’로 대체했고, 클렌징 제품은 고체 클렌징바로 바꿨습니다. 면도용품도 기존 플라스틱 면도기 대신 금속 손잡이의 교체형 면도기를 선택했습니다. 수건과 수세미 역시 플라스틱 성분이 없는 천연소재로 교체했고, 면봉도 종이 재질의 제품으로 바꾸었습니다. 이런 변화는 적은 돈으로도 충분히 실천 가능했고, 하나씩 바꿀 때마다 쓰레기통이 덜 차는 걸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욕실 플라스틱 줄이기 팁, 현실적인 실천법
욕실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건 ‘장기적인 안목’입니다. 처음에는 고체 제품이 익숙하지 않아 불편할 수 있지만,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면 오히려 간편해집니다. 제품 선택 시 성분은 물론 포장재까지 확인하고, 되도록 리필이 가능한 브랜드를 찾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욕실에 ‘적게, 간결하게’라는 원칙을 적용해 꼭 필요한 제품만 두는 것이 생활의 질도 높여줍니다. 저는 지금도 가끔 실패하거나 다시 플라스틱 제품을 쓰게 되지만, 전체적으로 줄이고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한 실천이라 생각합니다.
플라스틱 없는 욕실 만들기는 쉽지 않지만, 아주 불가능한 일도 아니었습니다. 한 제품, 한 습관씩 바꾸는 과정에서 불편함보다 보람이 더 크게 다가왔고, 지금은 그 변화를 즐기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오늘 욕실 한 켠을 들여다보며 작은 실천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변화는 그렇게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