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마켓에서 장보기 전 준비할 것: 첫 방문 체크리스트
디스크립션(요약) — 리필·무포장 상점은 “준비”가 절반입니다. 이 글은 용기 준비·탱량(빈 용기 무게) 표기·구매 리스트·알레르겐/위생·가격 비교까지, 첫 방문 전에 꼭 확인할 것을 한 페이지로 정리했습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09-04)
작성자: Soul Incense · 최초 게시: 2025-09-04 · 최종 업데이트: 2025-09-04 · 예상 읽기: 8~10분
핵심 요약
- 용기: 입구 넓은 투명 용기 + 뚜껑 분해 세척 가능한 구조
- 탱량(빈 무게) 표기: 바닥에 유성펜/라벨로 g단위 기입
- 리스트: 품목·예상 g/단가·대체안(품절 대비)
- 위생/알레르겐: 완전 건조 용기, 견과/글루텐 알레르기 확인
- 결제·보증금: 현금·카드·보증금/반납 규정 체크
1) 용기 준비: 무엇을 몇 개?
- 건식 (곡물·견과·세제 분말): 유리병/단단한 플라스틱, 넓은 입구, 500ml·1L 혼합
- 액상 (주방·욕실 세제, 오일): 누수 방지 나사형 뚜껑, 실리콘 패킹 점검
- 소분 (향신료·차): 120~250ml 소형병, 라벨 여유 공간
- 예비: 크래프트 봉투/클립, 고무밴드, 스푼 1개
2) 탱량(Tare) 표기 템플릿
번호 | 용기 종류 | 용량 | 탱량(g) | 비고 |
---|---|---|---|---|
1 | 유리 병 | 500ml | — | 뚜껑 분리 세척 가능 |
2 | 플라스틱 통 | 1L | — | 액상 세제 전용 |
3 | 소형 병 | 200ml | — | 향신료/차 |
Tip: 집 저울로 잰 뒤 바닥에 라벨/유성펜으로 “T=350g”처럼 기입. 매장 저울 재측정 요청 가능.
3) 장보기 리스트(예시)
품목 | 예상 수량 | 희망 단가(원/100g·ml) | 용기 번호 | 대체안 |
---|---|---|---|---|
현미 | 1,000g | ≤ 350 | #1 | 귀리 |
식기세제(무향) | 800ml | ≤ 1,200 | #2 | 주방 비누 |
아몬드 | 300g | ≤ 1,900 | #1 | 호두 |
4) 위생·알레르겐·안전
- 세척→완전 건조: 물기 남으면 곡물·향신료 곰팡이/응결 위험
- 알레르겐 교차오염: 견과/글루텐/대두 등 비치 경고문 확인, 직원에 문의
- 시식 기구 공용 사용법, 스쿱/깔때기는 내용물별로 구분 사용
- 유통기한/입고일 표기 확인, 오래된 용기 내용물 혼합 금지
5) 가격 비교는 “단가(원/100g·ml)”로
리필은 용량이 제각각이라 단가 비교가 핵심입니다.
- 매장 단가 × (구매량/100) = 예상 가격
- 리필 vs 기존 포장 제품의 총소유비용(세제·물·시간)을 함께 고려
6) 결제·보증금·반납 규정 체크
- 보증금 컵/용기: 금액·반납 기한·반납처
- 자사 포인트·리필 스탬프 제도
- 현금/카드/제로페이 지원 여부
7) 가져가면 좋은 소품
- 깔때기·집게·작은 국자 1개
- 행주 1장(누수/응결 닦기)
- 마스킹테이프+수성 마카(품목/날짜 라벨링)
- 에코백 1~2개 + 보냉 파우치(여름)
8) 현장에서 이렇게 담아요 (순서)
- 계산대/저울에서 탱량 확인(라벨과 일치 확인)
- 스쿱/깔때기를 내용물 전용으로 사용
- 마스킹테이프에 품명·날짜·보관법 적어 뚜껑에 부착
- 결제 전 무게·단가 재확인 → 영수증 단가(원/100) 메모
9) 보관·라벨 템플릿
라벨 예시: 품목/입고일/유통기한/보관(실온·냉장)/알레르겐
예) 현미 · 2025-09-04 · 실온(서늘, 건조) · 3개월 내 소비
자주 묻는 질문
- 집 용기 가져가도 되나요? 대부분 가능. 다만 완전 건조·무취 상태 권장.
- 탱량을 잴 저울이 없어요 매장에서 측정 후 라벨링 도와주는 곳이 많아요.
- 무향 세제가 꼭 필요한가요? 민감 피부·향 알레르기면 Fragrance-Free 권장.
결론 — 제로웨이스트 마켓 장보기는 용기·탱량·리스트만 준비해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남은 절반은 현장 위생·라벨링·단가 기록으로 완성하세요. 두세 번만 해보면, 장보기 시간이 루틴으로 줄어듭니다.
업데이트 이력
- 2025-09-04: 초판 게시 — 용기 준비·탱량·리스트·알레르겐·단가 비교·보관 라벨 템플릿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