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컵 없이 살아보기’라는 도전은 어느 날 출근길에 쌓여 있는 쓰레기 더미를 보면서 시작됐습니다. 매일 아침 커피 한 잔을 테이크아웃하면서 무심코 사용했던 일회용컵이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고 있었는지 새삼 깨달았죠. 그때부터 텀블러만 사용해 보기로 결심했고, 한 달 동안의 실천 기록을 공유하려 합니다.
텀블러 한 달 사용기, 시작은 낯섦에서
처음 일주일은 솔직히 불편했습니다. 커피숍에 들어가서 주문하면서 “텀블러에 담아주세요”라고 말하는 게 어색했기 때문입니다. 매일 가던 스타벅스에서조차 텀블러를 내밀면 직원이 잠깐 멈칫하거나, “이거 몇 온스예요?”라고 묻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게다가 처음엔 용량을 잘못 계산해 음료가 넘치거나 부족한 일도 있었죠. 하지만 그 과정에서 내가 무심코 지나쳤던 ‘소비의 과정’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일회용컵 줄이기 실천, 커피숍에서 느낀 변화
서울 강남구 일대 커피숍을 다녀보니, 텀블러 사용에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습니다. 대부분 매장에서 텀블러 이용 시 300원에서 500원의 할인 혜택을 주고 있었고, 어떤 개인 카페는 "환경을 생각하는 고객이라 더 기쁘다"는 말을 건네기도 했습니다. 작은 실천이지만 매일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겐 꽤 의미 있는 변화였죠. 한 달 동안 할인받은 금액을 계산해보니 8,400원이었습니다. 금전적인 절약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매번 커피를 받을 때마다 “오늘도 잘했다”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친환경 텀블러 생활, 외출부터 세척까지
텀블러를 늘 가지고 다니는 건 생각보다 번거롭습니다. 가방에 따로 자리도 차지하고, 하루에 한 번 이상 세척해야 하니까요. 특히 냄새가 배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저는 집에 돌아오면 바로 베이킹소다와 식초로 헹군 후 자연건조했습니다. 회사에도 세척용 수세미와 미니 브러시를 구비해두었죠. 이 작은 루틴이 생기면서 오히려 정돈된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텀블러 하나 때문에 ‘생활의 흐름’이 바뀐 셈입니다.
텀블러 세척 관리 팁, 한 달 실천에서 얻은 노하우
텀블러를 오래 쓰기 위해 가장 신경 쓴 부분은 ‘위생’이었습니다. 이중 구조로 된 제품은 내부에 물이 고이기 쉬워 세균 번식이 걱정됐기 때문입니다. 주 1회는 열탕 소독을 했고, 가끔은 햇볕에 완전히 건조시키기도 했습니다. 뚜껑이나 고무 패킹도 분리해 닦는 것을 잊지 않았고, 텀블러 전용 세척제를 사용해 냄새를 줄였습니다. 특히 커피 얼룩은 치약을 소량 묻혀 문지르면 잘 지워졌습니다. 텀블러도 ‘소모품’이 아닌 ‘관리해야 할 개인 물품’이라는 생각이 들었죠.
텀블러만 사용한 한 달, 작은 변화였지만 나에게는 큰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매일 사용하는 것 하나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런 실천이 나 스스로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준다는 걸 느꼈습니다. 텀블러는 단순한 컵이 아니라, 오늘의 선택을 상기시키는 상징이었습니다. 여러분도 한 달간 텀블러만 사용해보는 도전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